“조직적 여론선동 작업 이뤄지는 듯”
한국과 중국 간 경쟁이 치열한 산업 분야에 대한 국내 온라인 기사나 게시물에 중국이 조직적인 댓글로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는 연구 분석 결과가 나왔다.
주로 한국산을 폄하하고 중국산을 호평하는 식의 댓글이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가톨릭관동대 경찰행정학과 김은영 교수·국립창원대 국제관계학과 홍석훈 교수 연구팀은 최근 발표한 '한중 경쟁산업 분야에 대한 인지전 실태 파악' 보고서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국내 경제 분야에 대한 중국의 조직적 댓글 실체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2023년 7월부터 올해 8월까지 네이버와 유튜브, 네이트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한국과 중국 간의 경쟁 산업 분야 관련 기사에 달린 댓글을 분석했다.
중국식 번역체, 중국 고유 ID·프로필 특성, 동일 ID 반복 댓글 등 해외 선행연구에 사용된 중국인 계정 식별 기준을 적용해 중국 의심 계정을 찾아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 내에서 확보된 77개의 중국인 추정 계정을 분석한 결과, 이들 계정은 점조직으로 활동하면서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핵심 플레이어의 조율 하에서 국내 산업 관련 기사에 조직적으로 몰려다니며 댓글을 게재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이중 한 네트워크 그룹은 닉네임 'Chen Yang'('123456789'로 변경), 'Chen Wei Chi' 등이 허브로 주도했으며, 다른 네트워크 그룹은 닉네임 'xuf'와 'Seoul Breeze' 등이 허브로 활동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Chen Yang'은 2개의 그룹을 연결하는 전체 네트워크의 허브로 관찰됐다고 연구팀이 전했다.
네이버 상에서 전기차, 배터리, 스마트폰, 삼성, 알테쉬 등 주요 키워드를 이용해 기사 70개를 무작위로 수집해 댓글을 분석한 결과, 중국인 의심자들이 높은 빈도로 댓글을 게시하는 기사들이 총 댓글 수가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팀은 "한국인이 주로 댓글을 작성하는 기사에 (중국인 의심자들이) 댓글을 더 많이 게시했다"며 "이는 한국인의 댓글 게시가 증가하는 경우가 중국인 의심 댓글러들이 해당 기사에 댓글을 게재할지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통상 댓글은 특정 시기나 이슈와 관련된 기사에 많이 달리는 것이 정상적인 현상이다.
댓글 수가 적게 달린 기사의 빈도수가 높게 형성되는 게 일반적이다.
중국인 의심 계정은 댓글 기사 수와 기사에 달리는 댓글 수 관계가 정규 분포 형태를 보이는 이상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은영 교수는 연합뉴스에 "샘플 수가 70개로 지나치게 작은 데 반해 정규 분포를 보이고 있다는 것은 개인이 무작위로 댓글을 단다면 나타날 수 없는, 일반적이지 않은 현상"이라며 "(중국인 의심자들이) 조직적으로 할당된 과업을 수행하고 복수의 기사를 선택해 댓글을 달고 있다는 정황"이라고 말했다.
전기차와 스마트폰 등의 한중 경쟁 산업 분야에서 수년 전부터 반복적인 여론 선동 동향이 포착됐으며, 최근 폄훼 댓글 빈도가 증가 추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동일한 댓글은 국민의 불안감을 조성하는 '겁주기'(dismay), 정치·남녀·지역 갈등 등을 조장하는 '갈라치기'(divide), 중국을 비판하는 국내 매체에 대한 영향력을 떨어뜨리려는 '버리기'(dismiss) 기법을 활용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파악된 77개 계정이 국내 네이버 포털에 댓글을 달고 있는 중국인 추정 계정의 전체 값이라고 볼 개연성은 거의 없고, 오히려 전체 중국인 추정 계정 수의 극히 일부에 해당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했다.
유튜브의 경우 중국인 추정 계정이 239개로 파악됐다.
특히 유튜브의 기사별 최대 댓글 수는 2698개로, 네이버(454개)보다 높은 빈도로 조직적 여론 선동 작업이 이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새로운 형태의 중국발 인지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문제의 댓글을 데이터베이스(DB)화하는 한편, 중국 행위자를 식별해 낼 수 있는 프로파일링 지표와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 연구팀의 제언이다.
연구팀은 "중국의 인지전 위협이 새로운 양상의 비물리적 전쟁이라는 인식 하에 정부도 적극적인 대응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