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황정미칼럼] 보수 여당의 착각

관련이슈 황정미 칼럼 , 오피니언 최신

입력 : 2025-02-10 23:29:52 수정 : 2025-02-10 23:29:50

인쇄 메일 url 공유 - +

與 지지율 오른 건 중도 보수 귀환
‘비호감’ 李에 못 가고 尹 빠진 與로
국가 위기 자초한 尹과 동일시하면
계엄사태로 상처 입은 민심 못 얻어

지난주 보도된 본지 창간 여론조사에서 지지 정당이 없거나 모르겠다고 답한 무당층은 14%였다. 조사기관 한국갤럽 측은 그동안 20%대를 유지했던 무당층이 10%대 초반으로 준 것은 지난 대통령선거 한 달 직전보다 더 낮은 수치라고 했다. 보수, 진보 양 진영별로 최대한 결집이 이뤄지고 있다는 뜻이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38%, 더불어민주당은 41%였다. 갤럽 측이 예상보다 조사를 빨리 마무리했을 정도로 응답자들의 적극적인 의사 표명이 두드러졌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지지율 반등 기류에 여당과 대통령실의 목소리가 커졌다.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인 윤석열 대통령은 좌파 세력과 싸우는 본인 덕분에 지지층이 결집하고 있다며 고무된 분위기라고 한다. 권영세 비대위원장, 권성동 원내대표를 비롯해 나경원, 윤상현, 김기현 등 여당 중진 의원들이 줄줄이 구치소를 찾는 것도 이런 ‘후광’을 의식해서다. 하지만 윤 대통령 중심으로 지지율이 결집된다는 건 착시일 뿐이다.

황정미 편집인

40%에 육박하는 국민의힘 지지율은 ‘아스팔트 보수’의 확장이 아니라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때문에 이탈했던 중도 보수층의 귀환으로 봐야 한다. 12·3 계엄으로 윤 대통령 입지는 사라졌고 민주당 이재명 대표 권력은 더 커졌다. 윤 대통령을 찍었지만 그를 부끄러워했던 ‘샤이(shy) 보수’, ‘윤석열도 싫고, 이재명도 싫다’는 중간 지대 사람들이 ‘尹이 빠진’ 여당 쪽으로 갈아탄 셈이다. 이 대표와 국민의힘 후보 간 양자 대결에서 스윙 보터 역할을 하는 수도권, 충청 표심이 어느 정도 균형을 잡는 이유다.

대통령 지지율이 오른 건 이 대표에 비해 상대적 약자로 비치는 ‘언더독 효과’(underdog effect·약자를 응원하는 심리 현상)가 크다는 게 여론전문가들 지적이다. 오히려 대통령 평가는 탄핵에 대한 찬반 여론으로 보는 게 합리적이다.(허진재 한국갤럽 여론수석) 탄핵 찬성률은 반대에 비해 여전히 20%가량 높다. 여당이 대통령과 한 몸 전략으로 가는 순간 양당의 팽팽한 구도는 신기루처럼 사라지고 ‘20% 격차’만 남을 것이다.

대통령과 국민의힘이 믿는 구석이 있긴 하다. 탄핵·정권교체 찬성 여론을 흡수하지 못하는 이 대표다. 조기 대선 국면을 맞더라도 이 대표가 야당 후보로 나서는 한 보수가 똘똘 뭉쳐 해볼 만하다는 계산이다. 당내 탄핵 찬성파는 물론 집 나간 이준석 의원까지 보수가 똘똘 뭉칠지는 의문이다. 그래도 이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허위사실 공표) 사건 항소심에서 1심처럼 유죄 선고를 받더라도 끝까지 버티는 게 여당 후보에 유리한 건 맞다.

문제는 여당 후보가 ‘탄핵의 강’을 건너지 못하면 이 대표에 맞설 명분이 없다. 과연 대통령이, 여당 주류가 그런 상황을 용인할까. 지금도 대통령은 “모래알이 돼선 안 된다”며 당을 움켜쥐고 있다. 더 치명적인 건 이 대표가 불패 카드로 남지 않을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이다. 친문(친문재인)계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재명 자신을 제단에 바쳐서라도 반드시 정권교체를 완수하겠다는 사즉생의 각오를 가져달라”고 했다. 사법리스크로 지지율이 흔들리면 정권교체라는 ‘대의’를 위해 뒤로 물러나라는 얘기다. 이 대표를 후원하는 좌파 그룹에서도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 없을까. 이재명 ‘호위무사’로 불리는 김민석 최고위원은 국민경선으로 뽑은 노무현 후보 지지율이 떨어지자 출당해 정몽준 후보 편에서 단일화 판을 짠 주역이다.

전 국민이 경악한 탄핵 국면에서 보수 진영은 반성도, 성찰도, 전략도 없이 널뛰는 지지율에 취해 있는 것 같다. 그리고는 또다시 이재명만 바라보고 있다. 12·3 계엄의 근원을 따지자면 지난해 4월 총선 참패였다. “선거에서 지면 식물 정부가 된다”는 경고에도 윤 대통령은 한동훈 비대위원장과 불화하면서 민심과 다른 길로 갔다. 대한민국 체제가 위기에 처한 엄중한 국면이라는 데 이의가 없다. 보수가 해결사로 나서겠다면 최소한 그 위기를 자초한 사람을 중심에 세워선 안 된다.


황정미 편집인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장희령 '해맑은 미소'
  • 장희령 '해맑은 미소'
  • 정소민 '완벽한 미모'
  • 이영애 '눈부신 미모'
  • 혜리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