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 하계올림픽 개최 후보 도시 유치를 두고 서울과 전북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서울은 88올림픽의 성공 경험과 첨단 인프라를 앞세우고, 전북은 지역 연대와 기존 시설 활용을 통한 실용적인 계획을 내걸고 있다.
하지만 단독 유치보다 공동 개최 가능성을 열어뒀으면 한다. 단순한 스포츠 이벤트를 넘어 지역 균형발전과 국민 화합을 실현할 상징적 계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올림픽의 본질적 가치인 평화와 화합을 재조명하며, 서울과 전북의 협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힘을 모아 함께 미래를 만들어가는 획기적인 모델이 될 수도 있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2/12/20250212515713.jpg)
서울과 전북은 올림픽 등 국제대회를 유치한 경험이 있지만 실패한 적도 있다. 서울은 2032년 하계올림픽 유치에서 호주의 지방 도시 브리즈번에 밀렸고, 전북은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에서 강원 평창에 패배한 경험이 있다. 이번 도전에서는 경쟁보다 협력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한국의 유치 가능성을 높이고 국내 정치·사회적 연대의 긍정적 메시지를 전하는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다.
최근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단일 도시보다 여러 도시의 공동 개최를 선호한다. 또 대규모 신규 시설보다는 기존 시설을 활용해 지속 가능성과 비용 효율성을 중시하는 기조로 전환했다. 2032년 하계올림픽 개최지로 브리즈번이 선정된 사례가 이를 증명한다.
서울의 첨단 기술력과 전북의 풍부한 전통문화와 자연환경이 결합하면, IOC가 바라는 지속 가능한 올림픽의 이상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서울은 첨단기술과 세계적 인프라를, 전북은 광주, 대구, 대전, 충청권 지역과의 협력으로 기존 시설을 활용해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계획을 제시한다. 이런 전략은 IOC가 강조하는 지속 가능성과도 맞닿아 있다.
공동 개최는 경제적 측면에서도 강점이 있다. 33개 종목에 달하는 경기장 시설을 한 도시가 단독으로 충족하기에는 부담이 크다. 서울이 비수도권과의 협력을 통해 기존 시설을 활용하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수도권에 집중된 자원과 경제력을 지방으로 분산시켜 국가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올림픽은 단순한 스포츠 축제를 넘어 한 나라의 꿈과 비전을 담아내는 무대다. 서울과 전북이 공동 개최라는 협력의 방향을 선택한다면, 국가 균형 발전의 새로운 시대를 여는 계기이자 대한민국의 조화와 상생의 가치를 세계인에게 전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