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가 질환·생활고 시달려… 사회관심 절실
10일 세계일보가 국내 처음으로 통계분석 전문기관인 한국통계진흥원에 의뢰해 5년마다 실시되는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센서스)’의 2000, 2005년 10% 표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노·노가정은 2000년 1만1681가구에서 2005년 1만7800가구로 52.38%나 증가했다. 가구원 수는 3만425명에서 4만5749명으로 50.3%가 늘었다. 전체 노인인구(2005년 기준 436만7000명) 중 1.05%가 노·노가정에서 살고 있는 셈이다.
노·노가정을 포함해 가구원이 모두 65세 이상 노인인 가정(독거노인 포함)은 2000년 91만6102가구(130만6457명)에서 2005년 139만8542가구(199만2480명)로 52.66% 급증했다. 이는 같은 기간 노인인구 증가율 29.5%, 총가구 증가율 11.1%를 크게 앞질러 그만큼 가족 고령화 속도가 가파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국은 2000년 기준 60세 이상 노인의 44%가 부모가 생존하는 것으로 추정·보고되어 있는데, 현재 추세라면 우리나라도 조만간 이 같은 상황에 봉착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 견해다.
아울러 조사 결과 노·노가정의 65%는 구성원이 치매, 뇌졸중, 시각·청각·언어장애 등으로 육체·정신적 활동에 심각한 제약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생활비 역시 별다른 소득원이 없어 외부 도움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대 생활과학대 한경혜 교수는 “의료기술 발달로 수명이 연장되면서 가족 단위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며 “자신의 건강을 유지하기도 힘든 노인이 나이 많은 노인을 모시면 이중 부담으로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 가족 고령화는 사회적으로 대단히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공적연금과 전문시설·기관 등을 통한 사회적 부양체제가 자리 잡은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가족이 1차적으로 노인부양을 책임지고 있다. 한 교수는 “기존 가족정책은 저출산·여성정책 중심이고 노인복지정책은 자녀가 없는 독거·빈곤노인 위주로 마련되다 보니 정작 외부 지원이 절실한 노·노가정은 복지정책에서 소외돼 별도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별기획취재팀=염호상(팀장)·박성준·조민중·양원보 기자 tams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