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즈너 오브 워(Prisoner Of War), 즉 포로란 뜻이지.”
거제도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이 역사와 반공 교육의 산실로 사랑받고 있다. 포로수용소와 강강수월래, 몽골 마상쇼 등 각국의 전쟁 관련 민속무용을 접목시킨 ‘세계 군무 페스티벌’은 최근 거제시가 추진 중인 세계적 해양문화예술축제의 하나로 뽑히기도 했다.
고현 시가지에서 가까운 유적공원은 6·25 전쟁 와중인 1951년 2월 UN군에 의해 설치된 포로수용소를 기반으로 한다. 50년 6월 전쟁 발발 이후 붙잡은 포로들을 대전, 대구, 부산 등에 수용했다가 모두 이곳에 모아 관리한 것. 휴전 때까지 북한군 포로 15만, 중국군 포로 2만명 등 최대 17만3000명의 포로를 수용했으며 이중엔 300여명의 여성 포로도 있었다.
반공포로와 친공포로 간에 벌어진 유혈참극은 동족상잔의 비극을 새삼 일깨운다. 특히 공산 측 포로들은 숱한 난동을 일으켰으며 52년 5월7일에는 수용소장인 돗드 미군 준장을 납치하는 초유의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지금은 극히 일부의 잔존 건물만 남아 당시의 긴박한 상황을 전한다.
이후 포로들의 생활상, 막사, 사진, 의복 등 생생한 자료와 기록물을 바탕으로 다시 태어난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은 83년 12월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99호로 지정됐다. 특히 철저한 고증을 거쳐 포로수용소의 배치, 포로의 생활모습 등을 재현해놓은 디오라마관은 국내 최초이자 세계 최대로 알려져 있다. ( 위 동영상 참조)
2001년 개봉한 배창호 감독, 이미연·안성기·이정재 주연의 영화 ‘흑수선’의 촬영지로 쓰이기도 했다. 유적공원에는 ‘흑수선’ 촬영을 기념하는 입간판이 세워져 있어 팬들의 발길을 기다린다.
◇ 디오라마관에 전시된 포로들의 생활상 모형. 벌거벗은 포로들이 목욕을 하고 있다. |
◇ 디오라마관에 전시된 돗드 준장 납치사건 모형. 공산포로들이 포로수용소장을 붙잡고 위협하는 장면이다. |
◇ 막사 안에 누워있는 포로들의 모형. 하나같이 지치고 병든 모습이다. |
◇ 영화 ‘흑수선’ 촬영지 안내. 배창호 감독이 2001년 만든 ‘흑수선’은 거제 포로수용소 유적공원에서 촬영됐다. |
◆부산에서 거제까지=거제도로 가는 방법엔 물론 여러가지가 있지만 부산 연안여객터미널에서 배를 타는 것은 색다른 경험이 될 듯 하다. 얼마 전 새로 지어진 부산의 명물 자갈치시장과 부산∼거제를 잇는 8.2㎞ 길이의 거가대교(2010년 완공 예정) 공사 현장 등을 볼 수 있다. 소요 시간은 1시간쯤이다. ( 아래 동영상 참조)
거제=세계일보 인터넷뉴스팀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제보 및 보도자료 제공 bodo@segye.com, 팀 블로그 http://ne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