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 글꼴 '한강체·남산체' 개발

입력 : 2008-07-16 10:04:49 수정 : 2008-07-16 10:04: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공공기관 현판·안내표지 등에 적용 계획 서울시는 명조 계열인 한강체 2종과 고딕 계열인 남산체 4종, 세로쓰기용 1종 등 모두 7종의 고유 서체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들 서체는 유니코드(국제문자부호체계)를 기반으로 종류별로 한글과 영문 등 1만7140자씩, 총 11만9980자로 구성돼 있다. 서울서체는 각 글자 내의 여백을 키워 판독성을 높인 게 특징이다.

시는 이미 서울시청과 주민센터 현판 등에 서울서체를 사용 중이다.

앞으로 공공 건축물의 현판과 보행자 안내표지, 공공기관 유니폼, 지하철 안내표지, 외부 간판 등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서울서체는 시 홈페이지(www.seoul.go.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시는 지난해 10월 서울서체 개발에 들어가 학술연구, 디자인 기획, 학계 전문가와 디자이너 자문, 시민 선호도 조사 등을 거쳐 서체를 만들었다.

특히 시는 한옥 구조의 열림과 기와의 곡선미 등 전통적 아름다움에서 서체 개발의 모티브를 찾았다고 설명했다.

시는 한글날인 10월 9일과 10월 중 열리는 서울디자인올림픽 개회 기간 중 서울서체 활용에 대해 집중 홍보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런던과 파리, 요코하마 등 세계 주요 도시들은 고유 서체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며 “서울도 고유 글꼴을 갖게 됨으로써 세계 문화도시로서 고유의 정체성을 표현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귀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츄 '상큼 하트'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