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서울대 대학원 간호학 전공 김선영씨의 2011년 석사 논문 ‘육군 병사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영향 요인’에 따르면 강원·경기 지역 2개 부대 병사 288명의 정신건강을 분석한 결과 25.0%가 우울증, 17.4%가 강박증, 11.2%가 대인 예민성, 0.3%가 적대감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우울증을 겪고 있는 병사 중 10.1%는 적극적 개입이 필요한 심리적 부적응자로 나타났다. 강박증 병사 4.2%, 대인 예민성 병사 1.4%도 심리 치료가 필요한 수준이었다.
이 같은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데는 장교·부사관의 지지와 자기효능감 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김씨는 분석했다. 김씨는 “이번 조사는 군에서 정신건강과 관련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병사를 인격적으로 배려해고 신뢰, 존중하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실제로 군 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하고 자살을 시도했던 병사들은 상관으로부터의 인격적 모독을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연세대 대학원 심리학과 정신영씨는 2012년 석사학위 논문 ‘자살시도병사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개념도 연구’에서 입대 후 자살시도를 경험한 병사 7명에게 66개 위험요인 문장을 주고 공감도를 최저 1점에서 최고 5점으로 나눠 매겼다.
가장 큰 공감(4.57점)을 얻은 문장은 ‘이것도 못하냐? 라는 말을 들으면 자존심이 무너진다’, ‘힘들어도 간부들한테 솔직하게 얘기 못 하고 주위 시선 때문에 먼저 상담을 신청하는 것도 어렵다’였다.
‘부대원들이 무슨 말을 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르겠고 어떻게 해야 잘 어울릴 수 있을지 몰라서 늘 긴장상태다’, ‘부대에서는 하고 싶은 것들을 마음대로 못하니까 답답하다’, ‘내가 정말 힘들고 고통스러운데 말도 못하니깐 답답하다. 부모님이 보고 싶기도 하고 갇혀 있다는 것이 싫다’가 각 4.29점으로 뒤를 이었다.
정씨는 “지휘관과 간부가 실질적 도움을 못 준다고 인식하는 점과 선임병·간부의 무시·모욕이 위험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인격모독, 상습 괴롭힘과 같은 부정적 군 문화를 바꾸기 위한 대책과 개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권이선 기자 2s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