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연맹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지원을 얻어 다국적 제약회사들의 일반의약품 국가별, 유통채널별 판매가격을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국내에서는 일반의약품이 약국에서만 판매되기 때문에 약국간의 가격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변비약인 둘코락스 좌약의 경우 약국 간의 가격 차이가 3배나 벌어졌고, ▲라미실크림 ▲애드빌 정 ▲애드빌 리퀴겔 연질캡슐 ▲잔탁 75mg 4개 제품도 두 배 이상의 가격 차이를 보였다.
소비자연맹은 "외국에서는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일반의약품이 판매되는 데 반해 국내에서는 약국에서만 일반의약품을 판매함에 따라 경쟁 제한으로 이같은 가격 차이가 벌어지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유형별 판매가격을 조사한 결과, 동네약국을 100으로 봤을 때 클리닉약국(96), 병원 문전약국(95.7), 대형약국(85.8) 순으로 가격이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변비약, 비염약, 무좀약 등 16개 일반의약품 국내 가격을 미국 등 해외 5개국과 비교한 결과 11개 제품은 국내가 비싸지만 나머지 5개 제품은 국내가 더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가격이 비싼 의약품은 ▲개비스콘 더블액션 현탁액 ▲애드빌 정 ▲센트룸 실버정 ▲드리클로 ▲센트룸 정 ▲오트리빈 멘톨 0.1% 분무제 ▲카네스텐 크림 등이다.
반면 지르텍, 라미실크림, 클라리틴 정 등 3개 제품의 경우 국내 판매가격이 해외 평균 판매가격의 절반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돌코락스 좌약(80.5%)과 잔탁(84.8%)도 국내 가격이 더 저렴했다.
소비자연맹은 "상품으로서 의약품이 가지고 있는 전문성과 특수성 때문에 소비자가 약품 가격을 비교하기는 어렵다"면서 "소비자들이 능동적으로 가격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는 합리적인 소비문화가 정착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뉴시스>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