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중소도시가 활력을 잃고 있다. 고령사회에 진입한 한국은 2030년부터 본격적으로 인구가 줄어든다. 하지만 도시는 여전히 개발과 성장을 꿈꾸고 있다. 사람 없이 외형만 확장하는 도시는 빈집 문제, 재정 비효율 등 부작용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공간구조와 도시개발 방식의 변화 등 ‘도시 다이어트’가 필요한 이유다. 세계일보는 성장 일변도인 도시 문제를 재조명하고, 우리보다 앞서 해결책을 모색한 선진국의 ‘도시 다이어트’ 사례를 살펴보는 시리즈를 5회 연재한다.
“지가 젊을 때 이 동네 놀러 오면 ‘쩔꺽쩔꺽’ 직물공장 돌아가는 소리가 났다니깐유. 출퇴근 시간에는 그기 다니는 젊은 여공들이 서로 팔짱 끼고 다니고 그랬쥬.”
충남 공주시 유구읍행정복지센터 김현교(57) 주무관은 1990년 전후 유구읍이 지금 모습과는 천지 차이였다고 했다. 이 지역은 1990년대 초까지 섬유공업이 번성했다. 1960년대부터 섬유공업이 활발해 ‘동네 개도 만원짜리를 입에 물고 다녔다’는 우스갯소리가 전해올 정도다. 1970년대만 해도 유구읍에는 직물공장이 180곳을 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중국의 저렴한 직물이 물밀 듯 들어오면서 이 지역 산업은 쇠퇴를 맞이했다.
![]() |
지난 19일 충남 공주시 북서부 유구읍에 슬레이트 지붕이 철거된 빈집이 수년째 방치돼 있다. |
![]() |
북동부의 공주월송공공주택지구에서는 새 아파트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
이는 전형적인 축소도시의 모습이다. 그러나 빈집, 불필요한 기반시설 등을 인구 수에 맞춰 정비하려는 공주시의 노력은 한계가 뚜렷했다. 오히려 비현실적 전망을 기반으로 도시 외곽 개발이 한창인 모습도 보였다.

이런 빈집의 불규칙한 분포는 축소도시의 중요한 특징이다. 임준홍 충남연구원 연구위원은 “도시가 성장할 때는 중심에서 바깥으로 정형화된 모습으로 커나가지만, 축소할 때는 예측 불가능한 형태로 도시 중간중간에 빈집, 유휴시설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공주시는 한 채에 200만원씩 연간 총 50채 정비를 목표로 연간 1억원 정도를 관련 예산으로 올해 편성했다. 공주시 관계자는 “빈집이라고 하더라도 소유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지자체 개입이 어려운 사정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공주시는 여전히 성장기 시절의 장밋빛 미래를 그리는 중이다. 최근 ‘2030년 공주도시기본계획안’을 마련하면서 2030년 계획인구를 18만5300명으로 정했다. 공주시 인구는 현재 11만명이 채 안 되고 그마저 감소하는 추세다.
공주시의 ‘공상’은 숫자로 그치지 않는다. 현재 공주시 북동쪽에 자리한 공주월송공공주택지구는 새 아파트 건설이 한창이다. 총 500가구가 넘는 이 민간아파트는 지난해 5월 분양일정에 들어갔지만 1년이 넘게 지난 현재에도 25%가 미분양 상태다. 2015년 말 기준 공주시의 주택보급률은 114.5%다.
공주=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