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8일 서울 관악구 신원동 일원에서 무단투기보안관들이 무단으로 버려진 쓰레기 봉지 속에서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영수증과 택배 송장 등을 찾고 있다. 관악구 제공 |
무단투기보안관 공경숙(52·여)씨는 재활용 쓰레기만 일부 빼낸 뒤 나머지 쓰레기는 다시 종량제봉투에 담았다. 신원 확인이 불가능해 과태료를 부과하지 못하는 대신 봉투에는 ‘500원 아끼려다 10만원 과태료 폭탄’ 경고 스티커를 붙였다. 분리배출 규정을 지키지 않을 경우 부과할 수 있는 과태료는 최소 10만원에서 최대 30만원이다.
![]() |
쓰레기 무단투기 근절을 위해 ‘500원 아끼려다 10만원 과태료 폭탄 맞는다’ 문구가 담긴 홍보 포스터. 관악구 제공 |
이날 약 2시간 동안 신원동 일원에서 종량제봉투를 사용하지 않거나 분리배출을 규정을 지키지 않은 봉투 10여개를 발견했지만 한 건도 무단 투기자 신원을 확인할 수 없었다. 한 검은 봉투 속에서는 감자 껍질과 두부 등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있었다. 버린 사람을 특정할 수 있는 증거는 하나도 담겨있지 않았다. 무단투기보안관 기삼명(64)씨는 “쓰레기 무단투기를 단속한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아예 추적할 수 있는 흔적조차 남기지 않고 버린 쓰레기도 자주 발견된다”며 “작정하고 무단투기하는 사람들까지는 어쩔 수 없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서울 관악구가 ‘쓰레기 없는 깨끗한 관악’을 만들고자 지난해 11월 1일 무단투기와의 전쟁을 선포한 지 100일이 지났다. 원룸과 다세대 주택이 밀집한 관악구는 골목길에 버려지는 쓰레기로 인한 악취와 오물 때문에 골머리를 앓아왔다. 전국 최초로 무단투기 업무만 담당하는 전담팀을 만들어 무단투기 단속과 홍보를 강화해 개선 효과를 내고 있지만 양심 불량 무단투기 관행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구는 쓰레기 매일수거제와 이동형 폐쇄회로(CC)TV 설치 확대 등으로 무단투기 관행을 뿌리 뽑겠다는 방침이다.
![]() |
서울 관악구의 한 쓰레기 상습무단투기지역에 그물망(오른쪽)을 설치한 모습. 그물망에는 ‘무단투기 금지’ 등의 경고문이 붙어있다. 관악구 제공 |
‘쓰레기 정류장’으로 불리는 상습 무단투기 지역은 257곳에서 165곳으로 35.8% 감소했다. 구는 상습 무단투기 지역에 그물망을 설치해 쓰레기를 버릴 공간을 없앴다. 그물망에는 시민들의 무단투기 장면을 찍은 사진을 붙여 무단투기의 경각심을 알렸다. 주민 안모(63·여)씨는 “그물망과 CCTV를 설치하니 골목길 쓰레기 무단투기가 확 줄어 훨씬 쾌적해졌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 방법을 안내하는 포스터. 관악구 제공 |
관악구 관계자는 “순찰팀과 무단투기 지킴이, 이동형 CCTV 등을 활용해 양심 불량 무단투기 관행을 뿌리 뽑겠다”며 “‘무단투기는 200번 성공해도 단 한 번만 걸리면 과태료 폭탄으로 망한다’는 인식이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창훈 기자 corazo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