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토교통부가 지난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민 의견 수렴에 앞서 새로운 자동차 등록번호판 개선(안)을 공개하고 있다. 세종=G뉴시스 |
최종안은 여론수렴을 거쳐 확정하기로 했다. 매년 차량 80만대 정도가 신규 등록하는 걸 고려하면 향후 필요한 번호 수가 약 4000만개라는 게 국토부의 예상이다. 현행 체계는 총 2200만개 번호를 표현할 수 있다. 현재 신규 발급 가능한 번호는 모두 소진됐고 차량말소 등으로 회수한 번호를 내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에 국토부가 마련한 안은 현행 체계에 숫자 한자리를 맨 앞에 추가하는 안과 한글에 받침을 추가하는 안이다. 숫자 1개를 맨 앞에 추가하는 경우 약 2억개 번호를 확보할 수 있고 주차·단속 카메라 판독성도 높다는 설명이다. 또 앞자리가 세 자리가 되면서 119, 112 등 특수번호 부여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숫자가 추가돼 숫자 간 간격이 좁아져 번호판 글자 크기나 간격 조절이 필요해 비용 부담이 늘 것으로 보인다. 이 체계 적용 시 공공부문에서만 40억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추산됐다.
한글 받침을 추가하는 안은 약 6600만개 번호를 확보할 수 있다. 국토부는 한글 받침 중 ‘ㄱ’, ‘ㄴ’, ‘ㅇ’ 등 3개만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이 안은 현행 체계와 비슷해 친숙하지만 한글에 대한 주차·단속 카메라 판독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 ‘곡’, ‘돈’, ‘잔’, ‘망’ 등 호불호가 갈리는 어감의 번호가 나올 수밖에 없어 활용에 제한이 뒤따를 수 있다. 이 체계 채택 시 공공부문 개편에 드는 비용은 4억원 정도로 추산되지만, 경찰청 단속 카메라를 받침 확인이 가능한 수준으로 교체해야 할 필요성이 생겨 약 700억원 정도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토부는 이 같은 번호체계 개선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면서 번호판에 국가상징문양·비표를 넣는 안에 대한 선호도 조사도 진행한다. 번호판 글씨체에 대해서도, 현행 서체와 독일이 현재 사용 중인 ‘FE서체’를 한국형으로 변형한 서체 중 어느 것을 더 선호하는지를 묻는다. 변형 서체는 획의 끝부분이 삐침 처리돼 번호 일부가 가려지더라도 글자나 숫자를 유추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