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국 법무부 장관이 아직 후보자이던 시절 그와 가족을 대상으로 철저한 인사검증을 시도한 언론 보도들이 ‘이달의 기자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현재 진행 중인 조 장관에 대한 검찰 수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기자협회는 24일 제348회 ‘이달(2019년 8월)의 기자상’ 취재보도 1부문 수상작으로 ‘조국 법무부 장관 딸의 고교 시절 의학논문 제1저자 등재 과정 추적 등 인사검증’(동아일보 사회부)과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딸 특혜 장학금’(한국일보 사회부)을 나란히 선정했다고 밝혔다.
시상식은 오는 30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다.

동아일보 사회부 기자들이 보도한 ‘조국 법무부 장관 딸의 고교 시절 의학논문 제1저자 등재 과정 추적 등 인사검증’ 기사는 조 장관의 딸 조모(28)씨가 한영외고 1학년 시절 여름방학 2주간의 인턴 활동으로 SCIE급 논문 1저자로 등재된 사실을 국내 언론 가운데 처음 알렸다.
이 논문은 조씨가 2010년 고려대 생명과학대학의 ‘세계선도인재’ 전형에 응시, 합격하는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도 직후 문제의 논문을 저널에 게재한 대한병리학회는 “논문에 기여도가 높지 않은 조씨를 제1저자로 표기한 것은 연구 부정행위에 해당한다”며 학계에서 매우 이례적인 ‘논문 취소’ 결정을 내렸다.
이 보도를 시작으로 조씨의 대학입시 문제가 사회적 관심을 받자 급기야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나서 교육부에 “대입 전반에 관한 재검토를 하라”고 지시했다. 현재 교육부는 대입 제도 전반에 대한 재검토에 착수한 상태다.

한국일보 사회부 기자들이 보도한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딸 특혜 장학금’ 기사는 조씨가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의전원)에서 공부를 못해 낙제를 했는데도 특정 교수로부터 장학금을 지급받은 사실을 국내 언론 가운데 처음 알렸다.
이 보도를 계기로 조 장관의 도덕성 검증 문제는 본인은 물론 그 자녀 세대까지 이어진 특혜와 입시부정 의혹으로 확대됐다. 얼마 뒤 조씨가 부산대 의전원 입학 전에 재학했던 서울대 환경대학원에서도 서울대 총동창회로부터 ‘신청도 하지 않은’ 장학금 802만원을 받았다는 조선일보 보도가 나왔다.
부잣집 딸인데다 성적도 신통지 않은 조씨에게 집중된 장학금 때문에 누군가는 잃었을 기회에 대학생들은 분노했고, 결국 2016년 겨울에 이어 다시 촛불을 들었다.
조 장관은 후보자 시절 이른바 ‘흙수저’ 학생들에게 상처를 준 것에 대해 사과했다. 취임 후에는 가장 먼저 2030세대 젊은이들과 간담회를 갖기도 했다.
‘이달의 기자상’은 한국기자협회가 1990년 9월부터 시작해 이번까지 총 348회의 수상작을 배출했다. 한국기자협회장이 위촉한 16명 안팎의 선정위원들이 1개월 동안 보도된 기사 가운데 가장 뛰어난 기사를 가려내 상을 수여한다. 선정위원은 대학교수, 언론인 등 전문가들이 맡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 장관이 아직 후보자이던 시절 그를 상대로 인사검증을 시도한 보도가 한국 언론계에서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이달의 기자상’을 받은 건 앞서 ‘가짜 뉴스’ 운운하며 언론을 비난한 더불어민주당 등 여권 인사들과 조 장관 지지자들의 태도가 틀렸음을 보여준다.
특히 지지자 일부는 조 장관에 관한 언론의 각종 의혹 제기가 이어지자 ‘가짜 뉴스 아웃’, ‘근조 한국 언론’ 등 허무맹랑한 문구가 유력 포털사이트의 실시간 인기 검색어로 떠오르게 만들어 “검색어 조작”이란 빈축을 사기도 했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