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간 부실학회·학술지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관련 신고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인 ‘학술정보공유시스템’이 내년 10월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 이 시스템은 단순히 실적을 쌓기 위해 연구자가 부실학회·학술지를 이용하는 문제에 대한 과학기술계의 자정작용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마련했다.
지난해 국내 연구자들의 부실학회 활동 논란이 불거지면서 연구계 내부에선 연구자 개인의 정보 부족으로 인한 부실학회·학술지 참여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관련 정보의 공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온 바 있다.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지난 7월 말부터 학술정보공유시스템 시범서비스(safe.koar.kr)를 시작했다. 현재 시스템은 부실학회·학술지 개념과 특징, 동향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부실학술활동 의심 신고 기능을 운영하고 있다. 오는 12월 말 진행 예정인 2차 시범서비스가 개시되면 각 학술지, 학술회의 목록에 ‘안전’, ‘경계’, ‘위험’ 등 안전성 등급을 매겨 공개하게 된다. 내년 10월 정식 서비스 때는 학술지, 학술회의 정보를 연간 약 20만건 수준으로 구축하고 안전성 등급 신뢰도도 향상시키겠단 게 KISTI 측 계획이다.
시스템 구축을 담당하고 있는 김완종 KISTI 연구원은 “지금까지 부실학회가 많은 문제가 됐지만 이제 부실 학술지가 더 큰 문제가 될 것이다. 논문 한 편 내려고 하면 200만원 정도 요구하는 학회도 있는데 연구자가 이런 학회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의도적으로 이런 부실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는 일이 많아질 것으로 본다”며 “학술정보공유시스템은 관련 정보를 공유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신고 기능을 운영해 의심되는 학회에 대한 견제도 수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환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