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혼여성의 출산율이 10년 만에 4.4%포인트 하락한 반면 기혼여성의 무자녀 비중은 4.0%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이 발간한 ‘통계 플러스’ 겨울호에 실린 ‘저출산 시대, 기혼여성 해석하기’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기혼여성의 출산율은 2010년 96.0%에서 2020년 91.6%로 10년 동안 4.4%포인트 떨어졌다.
이에 비해 기혼여성 중 무자녀 비중은 2020년 8.4%로 2010년 4.4%에서 4.0%p 증가했다.
보고서는 저출산의 원인으로 가임여성 인구의 감소, 비혼 증가, 기혼여성 출산율의 하락 3가지를 꼽았다. 출산율 하락에는 출산을 미루거나 자발적으로 무자녀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초혼연령이 높아지면서 난임과 불임이 증가한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시점에 출생연도별 기혼여성의 출산율은 1970년생 94.3%, 1980년생 90.0%, 1990년생 56.5%, 1995년생 57.1% 등으로 나이와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18년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결혼 필요성에 대한 견해를 조사한 결과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응답 비중은 30대까지는 나이가 들수록 하락하다가 40대가 되면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 응답 비중은 20∼24세 13.7%, 25∼29세 9.8%, 30∼34세 8.4%, 35∼39세 7.7%로 갈수록 감소했다. 그러다 40∼44세는 9.0%로 반등했고, 45∼49세는 10.2%로 더 늘어났다.
또 무자녀 기혼여성 가운데 43.3%는 자녀가 없어도 무관하다고 응답했다. 꼭 있어야 한다는 응답은 24.2%였다.
이 보고서를 집필한 통계청 박시내 서기관과 박혜균 통계실무관은 “최근 출생 코호트의 기혼여성일수록 출산율이 낮은 것은 혼인 연령 상승 및 출산 시기의 지연, 무자녀 가구의 증가가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