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미화원으로 근무를 시작한 40대 남성이 1년 차 근무 후기를 전한 글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난달 31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42세 1년 차 환경미화원 A씨의 게시글이 게재됐다.
해당 게시글 작성자 A씨는 지인의 추천으로 1년 간 준비한 끝에 지난 해 1월 환경미화 업무를 시작했다며 “환경공무직의 일 중 가장 힘든 시기는 날이 따뜻해지기 시작하는 5월부터인데 봄 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많은 시민들이 밖으로 나오기 시작하고 그들이 나와서 소비하는 모든 것들의 껍데기들은 쓰레기가 되어 도로를 덮어 버린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 지자체에서 나오는 하루 쓰레기양이 어느 정도인지 아시면 아마 다들 기절하실 것"이라며 “그렇게 힘든 봄, 여름을 거치고 나면 이젠 낙엽과의 전쟁이 시작이 된다. 사실 이 일을 하기전에는 은행잎이나 낙엽이 떨어진 거리를 아름답게 봐왔는데 환경공무직 일을 하면서 은행과 낙엽은 어느새 저한텐 치워야할 쓰레기로 밖에는 보이지 않게 되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밖에 태풍이 오거나 홍수가 나면 나오는 수해 쓰레기 또한 처리를 해야 되고, 한 지역구에서 나오는 모든 쓰레기는 예외없이 다 치워야 된다고 보면 된다”며 “일주일에 근무는 주6일이며, 특수한 경우에는 일요일도 쉬지 않고 나간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패턴에 A씨는 하루에 총 2만 보 이상을 걷는다며 하루에 소모하는 칼로리가 1000칼로리 내외라고 밝혔다.
A씨는 “다들 운동을 꾸준히 해주면서 건강관리를 해주고 있고 저희 지역구만 해도 대부분이 30~40대이며, 올해는 20대도 두 명이 채용될 정도로 젊은 사람들로 채용을 많이 한다”며 “체력적인 면에서는 아무래도 젊은 사람들이 준비를 했을때 더 유리한 점이 많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A씨는 “1년차이지만, 군경력을 포함해서 저는 현재 4호봉인데 연봉 5000은 가볍게 넘어간다”며 “그 밖에 복지 포인트, 상여금, 성과금, 연차수당 등 따로 들어오고 하니 삶의 질이 많이 달라졌고, 와이프도 교육청 공무직으로 근무 중이라 정년에 대한 부담도 없어서 생활이 상당이 좋아졌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저희 환경공무직은 단순히 길에 떨어진 쓰레기를 버리는 직업이 아닌 시민들이 항상 깨끗한 인도를 다닐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생각으로 일을 한다”며 “앞으로 짧게는 몇 년, 길게는 20년 뒤 정년이 될때까지 이 일을 하게 되겠지만, 쓰레기로 뒤덮인 거리를 청소하고 뒤돌아보면 깨끗해진 거리에 만족감을 느끼며 오늘도 빗자루질을 하고 간다”며 글을 마무리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