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부울경’ 울산 아닌 ‘해오름’ 울산… 생활교류 많은 곳은 경남 아닌 경북

입력 : 2023-05-26 09:16:16 수정 : 2023-05-26 10:56:33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부·울·경’의 울산이 아니라 ‘해오름’의 울산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해오름은 울산과 경북 경주·포항 3개 도시가 함께하는 동맹의 이름이다. 울산을 중심에 두고 광역생활권을 꾸린다면 경주, 포항과 함께하는 것이 더 낫다는 의미다. 울산시가 서울대 인구정책연구센터에 의뢰한 ‘미래 인구맵 설계 용역’에서다. 시는 울산의 인구구조 변화를 계량화한 인구맵을 통해 인구대책을 수립하고, 울산 맞춤형 인구정책 추진에 활용하기 위해 용역을 추진했다.

지난 23일 경북 경주시청에서 열린 해오름동맹 상생협의회 회의 후 김두겸 울산시장,주낙영 경주시장, 김남일 포항시 부시장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울산시 제공 

26일 해당 용역 보고서를 살펴보면, 2021년 기준 울산과 인구 이동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주’였다. 이 기간 울산-경주를 오간 주민등록인구는 7256명. 전입이 2612명, 전출이 4644명이다. 다음으로는 경남 양산 (4958명), 부산 기장(2690명), 경북 포항(2623명) 등 순이었다. 주민등록인구로만 보면 울산을 중심으로 인접하고 있는 경주와 양산, 기장이 울산권역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양 도시를 오가는 인구인 생활권역으로 살펴봐도 비슷한 결과였다. 지난해 12월 주중 하루 평균 기준 울산과 가장 교류가 많았던 곳도 경주(1만4678명)였다. 양산(8588명), 기장(5624명), 해운대(3628명), 포항(2595명)이 뒤를 따랐다. 주말에도 같은 결과였다. 흥미로운 곳은 포항이다. 울산과 직접 도시 경계를 마주하지 않고 있는데도 같은 생활권역으로 묶을 수 있을 정도로 주민등록인구 이동과 생활인구 이동이 많다.

 

보고서는 “부울경 초광역권 논의가 있었지만, 생활인구 교류 상황으로 보면 부울경을 초광역권이라고 고려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양산과 기장이 교류가 많은 곳은 경계지역인 울주군이고, 부산시내와의 교류가 더 활발하다는 이유에서다. 또 울산과 이들 지역과의 교류량은 울산 내부에서 발생하는 생활인구 강도와 비교하면 매우 적은 수준으로 분석됐다.

 

보고서가 울산권역으로 본 곳은 경주다. 용역을 진행한 서울대 조영태 인구정책연구센터장은 “주민등록인구 전출입은 물론이고, 일상의 생활인구 교류도 적지 않다”며 “포항은 생활권역이라고 보긴 어렵지만, 경제적 교류가 발생하는 것이 분명해 앞으로 교류 상황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울산 중심 하루 평균 생활인구 이동현황. 울산시 제공

실제 울산시는 최근 경주, 포항과 협력을 보다 강화하고 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지난 23일 경주시청에서 열린 ‘2023년 상반기 해오름동맹 상생협의회’에 참석해 초광역 철도망을 구축하고, 신산업생태계 조성, 환동해권 문화관광산업 육성 등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경제산업 공동체 형성을 위한 5개 전략도 마련했다. 초광역 전철망 구축과 국가 첨단 가속기 인프라 동맹, 해오름 미래산업단지 혁신 플랫폼, 해오름 해안관광단지, 해오름 형제의강 상생프로젝트 등이다. 해오름동맹 도시 발전 전략 연구 용역까지 추진한다. 용역이 마무리되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초광역 공동 협력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세 도시간 생활권 광역화로 정주 인구의 기능적 연계를 높이고, 신산업 육성과 전략산업 연계를 통해 도시 경쟁력을 강화해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
  • 송혜교 '부드러운 카리스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