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전 2030 비중 60∼71% 달해

인터넷전문은행의 소액 대출상품인 비상금대출의 연체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급전이 필요한 2030세대가 비상금대출을 이용한 후 제때 갚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인터넷은행 3사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8월 말 기준 누적 비상금대출 연체금액은 2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업체별로는 카카오뱅크 175억원, 케이뱅크 13억원, 토스뱅크 12억원으로 집계됐다.
3사의 비상금대출 연체 잔액은 2020년 25억원에 그쳤지만 지난해 말에는 100억원을 넘어섰고, 8개월 만에 200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카카오뱅크는 2020년 연체금액이 25억원에서 6.8배 상승한 17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20~3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반을 넘어섰다. 카카오뱅크 175억원 중 123억원(71%), 토스뱅크 12억원 중 8억5500만원(71%), 케이뱅크 13억원 중 7억8200만원(60%) 등이다.
비상금대출은 은행이 SGI서울보증의 보증을 담보로 취급하는 소액 대출 상품이다. 소득과 직업이 없어도 50만원에서 300만원까지 빌려주는데, 금리는 최대 15%로 높은 편이다. 대출 요건이 까다롭지 않아 급전이 필요한 젊은 층에 인기가 높다. 지난달 말 기준 인터넷은행 3사 비상금대출 신규취급액 중 20대 이하 차주의 비중은 48.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의원은 “손쉬운 대출에 사회 초년생들의 연체가 증가하고 있어 경각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