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점수 차이도 더 벌어져
“다른 나라 하락에 순위 상승”
국내 수학 상·하위권 격차 확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소폭 높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을 겪으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청소년의 학업성취도가 전반적으로 하락했지만, 한국은 예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OECD 평균에 비해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OECD는 회원국 37개국을 포함한 81개국 만 15세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2022’ 결과를 5일 발표했다. PISA는 만 15세 학생의 수학·읽기·과학 소양 성취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3년 주기로 시행하는 평가다. 이번 평가는 본래 2021년에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코로나19로 한 해 연기됐다. 총 참여 인원은 69만명으로, 한국에서는 186개교에서 중3과 고1 학생 6931명이 참여했다.

한국 학생은 81개국 중 수학 3∼7위, 읽기 2∼12위, 과학 2∼9위로 직전 조사(2018년)보다 순위가 소폭 오르며 상위권을 차지했다. 2018년에는 79개국 중 수학 5∼9위, 읽기 6∼11위, 과학 6∼10위였다. PISA는 평균점수 오차를 고려해 순위를 범위로 매긴다. OECD 회원국 중에서는 수학 1∼2위, 읽기 1∼7위, 과학 2∼5위로, 역시 2018년(수학 1∼4위, 읽기 2∼7위, 과학 3∼5위)보다 순위가 올라갔다.
특히 OECD와의 평균점수 격차는 이전보다 더 커졌다. 한국의 평균점수는 수학 527점, 읽기 515점, 과학 528점으로 OECD 평균보다 각각 55점, 39점, 43점 높았다. 2018년 조사에서 한국과 OECD의 평균점수 격차는 37점, 27점, 30점이었다. OECD 평균점수는 직전 조사에 비해 수학 12점, 읽기 11점, 과학 4점 하락했는데 한국은 오히려 수학·읽기는 1점, 과학은 9점 상승하면서 차이가 더 벌어졌다.
교육부 관계자는 “한국의 성취 수준은 2018년 대비 많이 높아진 것은 아니고 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고 볼 수 있다”며 “다만 다른 나라에서 코로나19 영향으로 성취 수준이 하락하면서 국가 순위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81개국 중 평균점수가 가장 높은 국가는 수학·읽기·과학 모두 싱가포르(수학 575점, 읽기 543점, 과학 561점)였다. 이밖에 수학은 마카오(552점)와 대만(547점), 읽기는 아일랜드·일본(516점), 과학은 일본(547점)과 마카오(543점)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은 읽기와 과학은 2018년에 비해 상위 성취수준 비율이 늘고 하위 성취수준 비율은 감소했지만, 수학의 경우 상위 성취수준 비율(21.4%→22.9%)과 함께 하위 성취수준 비율(15%→16.2%)도 증가했다.
수학은 상위권과 하위권의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는 의미다. 수학은 남학생(530점)의 점수가 여학생보다 5점 높았고, 읽기와 과학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34점, 3점 높았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