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인 개혁신당 공천관리위원장은 26일 "목표 의석수는 최소한도 교섭단체 정도는 만드는 의석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국회 원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는 의석수는 20석 이상이다.
뉴시스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개혁신당 최고위원회의를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지금 여론조사 기관에서 이야기하는 지지율에 대해서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내가 다른 기존 거대 정당의 비대위원장도 해보고 하면서 선거도 여러 번 겪어봤지만, 꼭 지금 나타나고 있는 여론조사가 선거와 일치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부터 이 개혁신당이 이름 그대로 무엇을 실질적으로 개혁해서 나라의 미래를 설계할 것이냐 하는, 이것을 제대로 제시하고 국민이 그걸 받아들이면 우리가 성공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개혁신당 공천 방향에 대해서는 "원칙이라는 것이 기본적으로 하자가 없는 사람을 갖다가 공천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을 것"이라며 "개혁신당의 인적 자원 자체가 그렇게 풍부하지 않기 때문에 공천 작업 자체는 별로 그렇게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앞서 김 위원장은 공관위원장 직을 수락한 뒤 열린 첫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새로운 정치세력의 씨앗이 틔워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개혁신당의 공관위원장 자리를 수락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두 양당이 서로 이전투구를 해가면서 정치의 난맥상을 보여주고 있어서 국민은 정치를 절대적으로 불신하는 오늘날의 현실"이라며 "저는 오래전부터 대한민국의 새로운 정치 세력이 등장할 것 같지 않으면 '대한민국 정치의 바꿀 수 없다' 이렇게 생각하는 것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에 개혁신당이 새로운 정치세력으로서 등장을 한다고 해서 상당히 기대를 갖고 잘 유심히 관찰을 했었는데 그동안에 합당이니 뭐니 해서 여러 가지 불협화음을 일으켜서 국민들로부터 상당한 실망감을 준 것도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정치개혁, 경제개혁 두 가지가 앞으로 지향해야 할 과제가 되지 않겠나"라면서 "이런 것들을 구체적으로 해서 국민에게 제시해서 지금과 같은 정치를 바꾸는 것을 국민들이 동조하느냐 심판을 내려주리라고 저는 확신을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