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인구, 50% 이상 수도권 집중
전라권에서만 유일하게 감소
10년간 제주권 도시면적 최대 ↑
지난 20년간 국내 모든 권역에서 도시 면적과 도시화율, 노령화 지수 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들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과 각 권역별 도시인구와 면적이 갈수록 팽창했다는 의미다. 특히 제주권은 최근 10년 동안 도시인구 및 도시면적에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통계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통계적 지역분류체계로 본 도시화 현황’을 26일 발표했다.
통계청 지역분류체계 작성은 인구 격자 표시 및 군집화(유형), 군집화 유형 분류, 통계적 지용 분류 등 4단계로 진행됐다.

먼저 1㎢ 면적에 1500명 이상의 거주자가 있는 곳에 인구 격자를 표시하고, 지리적 인접성을 고려해 인구 격자 면적을 묶는 방식으로 군집화한다. 이후 격자 인구 및 군집화 인구 규모에 따라 군집화 유형을 3가지로 분류한다. 격자 내 인구 1500명 이상·군집화 인구 5만명 이상은 도심, 격자 내 인구 300명 이상·군집화 인구 5000명 이상은 도심 클러스터, 나머지 지역은 농촌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군집화 유형은 행정구역을 기반으로 다시 재분류된다. 행정구역 인구의 50% 이상이 1개 이상의 도심에 거주하면 도시, 행정구역 인구의 50% 미만이 도심에 거주하면 준도시, 행정구역 인구의 50% 이상이 농촌에 거주하면 농촌으로 분류된다.
이 같은 기준에 따라 도시화 현황을 살펴보면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도시 면적은 수도권과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 강원권, 제주권 등 모든 권역에서 증가했다.
도시 인구는 수도권과 충청권, 경상권, 강원권, 제주권에서 증가했으나 전라권에서는 감소했다. 도시인구 중 50% 이상은 수도권에 몰려있었고, 다음으로는 경상권(24.5%), 충청권(10.0%), 전라권(8.4%) 순이었다. 수도권은 도시 인구와 도시 면적 비율, 도시화 비율, 도시 집중도 등 도시화 현황 관련 모든 지표가 증가했다. 제주권의 경우 2010년에서 2021년 사이 도시인구(2.2%) 및 도시면적(3.9%)에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도시화율과 노령화지수는 모든 권역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통계청은 229개 시·군·구 단위 지표를 대상으로 통계적 지역분류로 집계가 가능한 영역별 21개 지표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 지역에서는 조혼인율,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가입률, 인구 1000 명당 의료기관 종사자 의사 수, 교원 1인당 학생 수, 인구 1000 명당 사설학원 수 등이 높게 나타났다.
준도시 지역은 순이동인구를, 유아 1000명당 보육시설 수, 조이혼율 등이 높았다. 인구 밀도가 낮은 농촌 지역은 합계출산율, 고령인구 비율, 1인 가구 비율, 독거노인 가구 비율, 인구 10만명당 자살률 등이 높게 나타났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