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지난달 공개해 큰 관심을 받고 있는 동영상 생성 인공지능(AI) ‘소라’(Sora)가 연내 공식 출시돼 일반인들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오픈AI 미라 무라티 최고기술책임자(CTO)는 13일(현지시간) 게재된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올해 (대중들이) 소라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몇 달 후가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무라티 CTO는 구체적인 시기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WSJ은 “오픈AI가 올해 하반기에 소라를 공식적으로 출시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소라는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동영상을 생성하는 AI다. 오픈AI는 소라의 명칭이 일본어로 ‘하늘’을 의미하는 ‘소라’에서 따왔다며 “무한한 창의성을 떠올리게 하기 위해서”라고 밝힌 바 있다. 오픈AI “소라는 여러 캐릭터와 특정 유형의 동작, 복잡한 장면 등 최대 1분 길이의 동영상을 빠르게 제작할 수 있고, 언어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고 있어 프롬프트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생생한 감정을 표현하는 매력적인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공개된 소라는 현재 ‘제한된 수의 창작자’만 사용할 수 있다.
무라티 CTO는 소라가 생성하는 동영상을 더욱 사실적으로 만들기 위해 “음향을 통합할 계획”이라며 이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소라가 생성한 동영상 콘텐츠를 이용자가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무라티 CTO는 올해 미 대선을 비롯해 전 세계적으로 선거가 열리면서 생성형 AI를 이용한 가짜뉴스 확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소라가 출시되면 공인의 이미지는 생성할 수 없을 것”이라며 “또 동영상에는 실제와 구별하기 위한 워터마크가 표시될 것”이라고 전했다. 오픈AI는 또 소라를 일반인에 출시하기 전에 전문가팀에 맡겨 안전성 여부를 평가할 계획이다.
앞서 미국 정보기술매체 ‘와이어드’는 소라가 발표되자 “오스카 시상식을 앞두고, 소라가 영화 학교에 가지 않고도 영화를 마스터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픽사는 괴물의 동작을 표현할 때 털의 정교한 움직임과 질감을 표현하느라 수많은 애니메이터들을 고용해 여러 달 동안 작업해야 했다”며 “하지만 인공지능은 동일한 작업을 눈깜짝할 새 처리했다”고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