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발전·안전 걸림돌 제거 강조
이전지 화성 주민 갈등 등 과제로
‘막다른 골목’에 내몰렸던 경기 수원시의 군 공항 이전 움직임이 4·10 총선 이후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수원시 권선구 장지동 일대에 6.3㎢ 규모로 조성된 수원 군 공항은 일제강점기에 처음 건설됐으나 5만여명에 불과하던 수원의 인구가 100만명을 넘기며 시민 안전과 시의 발전을 저해하는 골칫덩어리로 전락한 지 오래다.
28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지난 총선에서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수원지역 선거구 5곳에서 모두 당선자를 배출하며 지난 총선에 이어 ‘싹쓸이’에 성공했다.
앞서 정치권은 1992년 대선 때 처음 수원 군 공항 이전 공약을 끄집어냈으나,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 공약이 반복될수록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의 목소리만 오히려 커졌다. 민주당 측은 “2013년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한 뒤 사전타당성 용역 예산을 확보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고 진전을 이뤄냈다”는 입장이다. 반면 여당인 국민의힘 측은 ‘수원 군 공항 이전은 안 한 건가, 못한 건가’라며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군 공항 이전을 포함한 경기국제공항 건설의 필요성을 주장해 온 경기도는 한발 물러선 상황이다. 올 8월 연구 용역을 마무리하고 공론화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지만 국제공항 건설에 반드시 군 공항 이전을 못 박을 필요는 없다는 쪽으로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원 군공항은 1954년 공군 관할로 현재의 모습을 갖췄으나 1980년대 이후 민원의 대상이 됐다. 2013년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돼 2015년 국방부의 이전 승인까지 있었지만 한 발짝도 나가지 못하고 있다. 당시 국방부는 예비 이전 후보지로 화성 화옹지구를 지목했다.
하지만 이달 초 도 산하 경기연구원이 ‘수원 군 공항을 이전하게 되면 대규모 갯벌 매립이 필요하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놓으면서 수원시는 정정을 요구하는 등 날 선 태도를 보였다. 극한투쟁을 이어온 화성 서부지역 주민들 역시 평행선을 그리고 있다.
이달 18일에는 수원전투비행장 화성 이전 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가 이상환 위원장을 선출하며 투쟁 강도를 높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