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처우·계엄군 불명예 등 원인으로 분석
최근 육군 특수전사령부 소속 중사·상사 계급의 희망전역 신청 인원이 급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질적인 문제인 낮은 처우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계엄에 동원된 부대’라는 불명예 인식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10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유용원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받은 ‘최근 5년 특정 기간 내 육군 특전사 계급별 희망전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3일부터 이달 3일까지 두 달 동안 전역을 신청한 중사는 총 26명이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1명에 비해 약 2.4배 늘었다. 상사 계급은 작년 6명에서 올해 26명으로 약 4.3배 증가했다.

특전사에 소속된 중사·상사는 특전사 현행작전 요원 중 7할 이상을 차지하는 중추 계급이다. 유사시 육지, 해상, 공중 등 전천후 침투가 가능하고 정찰, 정보수집, 요인 암살 및 납치, 인질구출, 게릴라전 등 각종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정예 특수부대원들이다.
유 의원은 특전사에서 유독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은 낮은 처우에 대한 불만, 계엄령 선포 때 직접 동원된 부대라는 불명예 등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유 의원은 “특전부사관의 전역 러시 현상은 우리 특수작전수행 능력 저하로 이어져 안보 공백을 초래할 수도 있는 긴요한 문제인 만큼 군 당국의 종합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12·3 계엄에 동원된 일부 특전요원들은 계엄 상황인지도 모르고 상관의 명령에 따라 동원됐을 뿐”이라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하고 있는 특전사에 대한 우리 국민의 변함없는 애정과 응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