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中 크루즈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
무비자 확대 반대 청원, 동의자 수 5만명 넘겨
탄핵 정국·반중 정서로 한국 매력도 떨어지나
중국이 이르면 5월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을 해제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여행업계에서는 중국인 관광객이 늘어날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경기 침체 장기화와 국내 반중(反中) 감정 확산이 맞물려 중국 관광객의 한국 선호도가 예전보다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23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기구인 ‘중국아태협력중심’은 내달 한국에 문화사절단을 파견할 예정이다.
중국 문화사절단의 방한을 통해 한한령 해제 기류가 가시화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5월쯤 한한령이 완연하게 해제될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한한령은 지난 2017년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 조치로 시행됐다. 한한령 이후 방한 중국인 관광객은 급격하게 감소했다.
지난 2016년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800만명을 웃돌았지만, 2017년에는 420만명 수준으로 반토막 났다. 중국인 관광객은 이후 코로나19로 하늘길이 끊겨 더 줄었다가 지난해 460만명을 겨우 회복했다.

한한령이 풀리면 양국 교류 확대로 중국인 관광객이 늘어나 여행업계에도 훈풍이 불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인에 대한 비자 면제 논의가 조금씩 확대되고 있는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제주도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에 30일 한정 무비자 체류를 시행하고 있다. 또 올해부터 크루즈를 타고 온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경우 최대 3일간 비자 없이 한국에 체류할 수 있는 시범 사업이 진행 중이다.

그러나 중국의 경기 침체가 지속되고 있어 한국여행에 대한 선호도가 줄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 매체 시나경제는 “(한국의)탄핵 정국과 비싼 비용 등이 중국 관광객의 의욕을 꺾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국 내 반중 정서가 고조되는 것도 여행업계의 큰 숙제다.
국회 국민동의청원에는 ‘법무부의 중국인 단체관광 무비자 안건 반대에 관한 청원’이 이날 기준 5만2809명의 동의 수를 기록했다. 해당 안건은 등록된 지 2주 만인 지난 19일 동의자 수 5만명을 넘겨 소관위원회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로 넘어갔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체류 기간이 길고 지출 규모가 큰 중국인 관광객은 한국 관광 시장의 핵심 고객이지만, 최근 반중 감정 확산과 선호도 하락, 구매력 약화 등으로 중국인의 방한이 활발했던 수준만큼의 회복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국민들의 정서를 고려하면서도 동시에 중국 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