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자신의 의사와 관계없이 직장을 그만둔 상용직 근로자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3% 늘어났다. 반면 같은 임시일용직은 비자발적으로 이직한 규모가 13.1% 급감했다. 모두 얼어붙은 고용 시장을 드러내는 지표다.

고용노동부가 27일 발표한 ‘2월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1명 이상 일하는 국내 사업체의 종사자는 1995만7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만2000명(0.1%) 늘어났다. 올해 1월 46개월 만에 종사자 수가 전년 같은 달 대비 감소했는데 1개월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등의 공공부문 일자리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종사자 수는 9만7000명(4.1%)으로 가장 많이 늘었다. 반면 건설업·제조업 등 전통적인 산업 분야에서 고용 지표는 악화하고 있다. 8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한 건설업 종사자는 전년 동월 대비 8만2000명(5.6%)이 줄었다.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은 6000명(0.2%) 줄었다.
이직을 보면 자발적 이직은 29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5000명(1.9%) 증가했고, 비자발적 이직은 44만1000명으로 4만4000명(9.2%) 감소했다. 기타 이직은 8만3000명으로 2만4000명(22.4%) 급감했다.
비자발적 이직만 봤을 땐 상용직에선 전년 동기 대비 9000명(11.3%)이나 증가했다. 고용부는 “경기 침체 영향으로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에서 휴폐업 영향으로 늘어난 탓”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임시일용직에선 비자발적 이직이 5만3000명(13.1%) 줄었다. 지난해 9월부터 이런 현상이 일어났는데 건설업 침체가 원인으로 꼽힌다. 건설업 채용이 급감해 이직 자체도 줄었다는 의미다.
1월 기준 물가수준을 반영한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실질임금은 전년 동기 대비 13.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이던 설 명절이 올해는 1월에 포함돼 설 상여금 등 특별급여가 영향을 줘서다.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00인 미만 사업장 경우 11.5% 늘어난 410만6000원, 300인 이상은 25.9% 급증한 910만4000원으로 나타났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