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 시내버스노조, 30일 쟁의행위 예고… 서울시 “비상수송대책 마련”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4-28 18:22:07 수정 : 2025-04-28 22:57:2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이 실시한 쟁의행위 투표가 찬성으로 가결되며 이달 30일 ‘버스 파업’ 가능성이 높아진 가운데, 서울시는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28일 서울버스노조에 따르면 이날 실시한 쟁의행위 찬반투표 실시 결과 재적조합원수 1만8082명 중 1만5941명(88.2%)가 투표해 찬성률 96.3%(1만359명)로 가결됐다. 전체 조합원 수 대비 찬성률은 84.9%다. 

 

서울시 버스 노동조합이 서울시의 임금 협상 태도를 비판하며 오늘 30일 파업을 예고했다. 28일 서울 도심에서 시내버스 등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뉴시스

노조 측은 최근 대법원 판결에 따라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하고, 물가상승률에 따른 임금 인상과 현행 63세인 정년을 65세로 연장하는 방안과 암행 감찰을 폐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사측은 통상임금을 낮추는 방향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겠다는 입장이다. 기존 체계를 유지할 경우 통상임금 범위가 넓어져 인건비 부담이 커진다는 주장이다. 노조 측은 사측과 서울시가 임금 동결을 요구하고 있지만, 수당 산정 방식을 바꿔 사실상 임금을 삭감하려는 조치라며 반발하고 있다.

 

노사는 그간 총 9차례의 교섭을 벌였고, 지난 23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중재 아래 1차 조정회의를 했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2차 조정회의 시한은 29일까지다. 이날 자정까지 노사간 협상이 결렬될 시 노조 측은 30일부터 전면 쟁의행위에 돌입하게 된다.

 

노조 측은 이른바 ‘준법투쟁’이나 전면 파업 중 방안을 놓고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준법투쟁은 노조가 법령·단체협약·취업규칙 등을 평소보다 엄격하게 지키면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어느 쪽이든 운행지연, 배차간격 증가 등 시내버스 운영에 차질은 불가피하다.

 

서울버스노조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파업을 택하자는 이야기가 급격하게 올라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서울시 관계자도 “임금 인상 정도에 대한 노사간 입장 차가 커 쟁의행위가 안전운행이 아닌 전면 파업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서울시는 원만한 노사간 합의와 대중교통 정상운영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면서 흔들림 없는 시내버스 운영을 위해 실시간 감시 시스템 구축을 완비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버스 운행 간격, 운행 속도, 정류소 정차 시간 등에 이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서울경찰청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즉각적인 조치에 나설 예정이다. 출퇴근 시간대 주요 교통혼잡 지역에는 교통경찰을 배치하고, 버스 중앙차로 구간에서 운행 지연이 발생하면 후속 버스가 추월을 할 수 있도록 경찰에 요청해 원활한 도로교통 소통을 위해 긴밀히 협조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파업을 대비한 비상수송대책도 미리 수립해 가용 가능한 모든 교통수단을 동원해 시민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시·자치구·버스조합은 비상수송대책 본부를 구성해 24시간 연락체계를 유지하고,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 9호선, 우이신설경전철 등 교통운영기관과도 협력체계를 사전 구축해 종합적인 수송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서울 종로구 지하철 종로3가역에서 시민들이 개찰구를 통과하고 있다. 뉴스1

지하철은 출퇴근 혼잡 완화 및 불편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1일 총 173회를 늘린다. 출퇴근 주요 혼잡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투입을 늘리고, 지하철 막차도 다음날 새벽 2시까지 연장해 심야 이동도 지원한다., 지하철 출퇴근 등을 빠르게 연계하기 위해 서울 25개 각 자치구에서는 무료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 중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거점에서 지하철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민·관 차량 500여 대를 즉시 투입할 예정이다. 셔틀버스 노선 정보는 서울시 및 자치구별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파업행위 장기화를 대비해 출근 시간에 집중되는 이동수요를 분산하고자 시내 초·중·고등학교와 공공기관, 민간기업 등에 등교 및 출근 시간을 1시간 조정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실시간 시민 안내를 위해 120 다산콜센터와 교통정보센터 토피스, 시 홈페이지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 도로 전광판, 각 정류소의 버스정보안내 단말기 등을 통해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각 25개 자치구도 가용 가능한 모든 채널을 통해 관내 거주 시민들에게 안내 및 정보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이병훈 기자 bhoo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츄 '상큼 하트'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
  • 조이현 '청순 매력의 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