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 1분기 순익 33%↓… JB금융 6%↓
NPL비율·연체율도 상승 건전성 악화
中企 대출 축소에 지역 ‘돈맥경화’ 우려
전문가 “지방銀 활성화 위한 지원해야
지자체 금고 지정·세금 감면 등 필요”
디지털 전환 통한 신사업 발굴도 절실
지난 1분기 역대 최대 당기순이익을 낸 4대 금융지주와 달리 지방 금융지주는 은행이 줄줄이 역성장하며 시름이 깊어졌다. 지역 기업이 어려워지며 부실 여신이 늘고, 지방은행이 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해 자금 공급을 줄이는 악순환이 이어지면서 당국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BNK·JB·iM금융 등 3대 지방 금융지주는 지난해 전국구 영업으로 전환한 iM뱅크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역성장했다.

자산 규모가 가장 큰 BNK금융의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166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2% 감소했다. 핵심 계열사인 부산은행은 1년 새 31.6% 급감한 856억원, 경남은행은 31.4% 감소한 69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JB금융도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이 6% 역성장하며 1628억원에 머물렀다. iM금융만 유일하게 작년 대규모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생긴 적자를 털고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8.1% 증가한 1543억원을 기록했다.
더 큰 문제는 지방 금융지주들의 자산 건전성 지표가 일제히 악화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지방 중소기업에 의무적으로 대출을 해줘야 하는 지방은행이 최근 지방 경기 침체에 직격탄을 맞았다는 분석이다. 실적 성장세를 보인 iM금융도 그룹 고정이하여신(NPL)비율과 연체율은 각각 1.63%, 1.71%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0.33%포인트, 0.54%포인트 올랐다. iM뱅크 NPL 비율(0.82%)과 연체율(1.09%)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10%포인트, 0.45%포인트 상승했다. iM금융은 이에 대해 거액 보증서 담보대출에서 연체가 발생했다고 설명한 바 있다.

부산은행도 NPL비율이 작년 1분기 0.44%에서 올 1분기 1.10%로 뛰었고, BNK금융그룹 전체로 보면 같은 기간 0.85%에서 1.69%로 급증했다. JB금융 NPL비율도 0.91%에서 1.19%로 상승했다.
금융권에선 지방은행의 건전성 악화로 지역경제에 돈이 돌지 않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지방 경기 악화로 중소기업들이 대출을 갚지 못하면서 지방은행들이 충당금 부담 등에 점점 대출 포트폴리오를 우량 기업 위주로 재편하게 되고, 중소기업들의 사업 여력은 더욱 나빠질 수 있다.
이에 지방은행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상원 동아대(금융학과) 교수는 지난 18일 ‘지역경제의 위기와 지방은행의 역할’ 포럼에서 지방은 실물 경제 규모 대비 여신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며 지방 여신 공급 역할을 할 지방은행을 금융당국이 지원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가 전국 여신 대비 해당 지역의 여신공급량과 전국 총생산 대비 지역내총생산(GRDP) 간 차이로 ‘여신괴리율’을 산출한 결과 서울은 2022년 기준 13.99%로 실물경제 규모 대비 여신공급이 충분한 반면 충청(-5.13%), 울산·경남(-3.13%) 등은 여신공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신괴리율이 양수(+)인 경우에는 경제 규모보다 여신이 초과 공급됐다는 의미다.
그러면서 “지방자치단체 금고은행 지방은행 법제화, 지방은행 보조금 및 세금 감면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다만 지방은행도 디지털 전환, 핀테크 기업 등과의 협력을 통한 새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는 등 경쟁력 확보를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금고은행 법제화 등은 수년 전부터 지방은행들이 제안해 온 내용이지만 형평성 등을 이유로 현실화된 적은 없다”며 “최근 지방기업 부실로 지방은행들이 충당금 부담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시중은행에 비해 지방에서라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정책이 마련되길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