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29일(현지시간) 관세 협상과 관련해 “한국과의 협상 윤곽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6•3 대선, 일본의 7월 참의원 선거 등 아시아 국가들의 주요 정치 일정으로 협상 타결이 늦어질 가능성에 대해선 이들이 선거 전 무역 협상의 기본 틀을 마련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협상을 서두르지 않겠다는 한국 정부 입장과 다소 결이 다르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오전 백악관에서 진행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100일 경제 성과 브리핑에서 한국을 비롯해 인도, 일본 등 아시아 국가와의 협상 합의 발표 시기를 묻자 “이들은 협상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협력해왔다”며 한국과의 협상 윤곽이 점차 드러나고 있다고 밝혔다.
베선트 장관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함께 지난 24일 워싱턴에서 한국의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만나 ‘한미 2+2 통상협의’를 진행한 바 있다.
베선트 장관은 한국의 6월 대선, 일본의 7월 참의원 선거 등 아시아 국가들의 주요 정치 일정 탓에 협상 타결이 늦어질 가능성과 관련해선 “이들 국가의 정부는 선거 전에 무역협정의 틀을 마련해 미국과의 협상을 성공적으로 진행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선거 전에 무역 협상의 기본 틀(framework)을 마련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는 그들이 실제로 협상 테이블로 와서 이 문제를 해결하고 난 뒤 선거운동을 하려는 의지가 더 강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협의에 나섰던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결과 브리핑에서 “차분하고 질서있는 협의”를 추진하겠다고 강조한 바 있다.
베선트 장관은 일본과의 협상에 대해선 “실질적인 논의를 하고 있다”고 했으며 인도와의 협상에 대해선 “인도는 흥미롭게 다른 많은 국가보다 협상이 더 쉬운 편이다. 인도에는 매우 높고 많은 관세가 존재하고 직접적인 관세는 더 쉽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발표가 곧 이뤄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중국과의 출구가 보이지 않는 관세 전쟁 관련 협상 여부를 묻자 “누가 누구와 대화하는지는 얘기하지 않겠다면서 “시간이 지나면 관세가 중국에 지속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일본, 인도, 영국, 호주 등 이른바 우선협상대상국 5개국과 빠른 협상을 이끌어내 시장에 관세협상과 관련한 안정적인 메시지를 주려 한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