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미분양 증가 등 악재
수주 제자리… 고용 한파 계속될 듯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외부 회계 감사를 받는 건설사 중 절반가량이 부실 한계 상황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불붙은 수도권 부동산 시장과 달리 건설경기는 아직 혹한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4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2024년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부실현황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외감기업(직전 사업연도말 기준 자산총액·매출액이 500억원 이상으로 외부 회계 감사 대상인 건설사) 중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곳은 전체의 44.2%로 집계됐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1 미만은 벌어들인 돈보다 이자 비용이 많아 채무 상환이 어려운 상태를 의미한다. 스스로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좀비 기업’이 전체의 절반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이런 기업들은 문재인정부 시절 부동산 열기가 꺼지기 시작한 2020년 이래 계속 늘어났다. 경기 활황을 타고 아파트뿐 아니라 오피스텔, 생활형 숙박시설 등 전국에 우후죽순 지은 물량이 열기가 식자 ‘악성 미분양’으로 돌아온 탓이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건설외감기업은 2020년 33.1%, 2021년 37.7%, 2022년 41.3%, 2023년 43.7%, 2024년 44.2% 등으로 늘어났다. 부동산 경기 침체와 미분양 증가,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건설 원자재?인건비 상승 등이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악성 미분양)은 2만7584가구로, 전월보다 1.9% 증가했다. 지난 6월 감소했다가 7월에 이어 8월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대구 3702가구, 경남 3314가구, 경북 3237가구, 부산 2772가구 등 지방 물량이 많았다.
건설업 고용 한파는 한동안 지속될 전망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국내 건설 수주 예상치는 전년 대비 1.9% 증가한 222조1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물가 상승 효과를 감안하면 제자리 수준이다. 올해 상반기에는 조기 대선 등 정치적 불확실성과 투자심리 위축, 높은 공사비, 부동산 PF 부실 등의 영향으로 수주가 부진했다. 올해 건설 투자는 전년 대비 5.3% 감소한 274조8000억원이 예상된다.
2023년 건설 수주 급감과 2022~2023년 건축 착공 감소 등 주요 선행지표 부진의 영향으로 하반기에도 침체 흐름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지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내수 부진과 대출 규제 등의 요인이 건설경기 회복을 막고 있다”며 “건설산업 체질 개선을 위한 접근과 미래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