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교육감들이 간담회를 열고 21대 국정과제를 비롯한 교육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서울시교육청은 정근식 서울시교육감이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도성훈 인천시교육감과 수도권교육감 간담회를 열어 21대 국정과제를 비롯한 교육 현안을 논의했다고 15일 밝혔다.

세 교육감은 이번 간담회에서 ▲기초학력 전문교사 제도 도입 ▲미래형 통합학교 제도화를 위한 연구 ▲사교육 과열 방지를 위한 학원법 개정 ▲화해중재 기능 강화를 위한 학교폭력법 개정 ▲혐중시위, 학교 폭발물 설치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교육감들은 우선 기초학력 전문교사 제도 도입을 적극 검토하는 데 합의했다. 이들은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기초학력 문제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며 이를 위해 기초학력보장법령을 개정, 정원∙자격∙양성 등에 대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했다. 또 학생 특성을 반영해 맞춤형 학습지원 체계를 강화하자고 했다. 더불어 정책 수요에 따른 교원 정원 및 예산 확보를 위해 초중등교육법, 교육재정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것도 뜻을 모았다.
심화하는 지역 간 인구 격차와 학령인구 감소 위기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미래형 통합학교 제도 정비도 안건으로 다뤄졌다. 이들은 향후 인구감소지역에서 통합형 학교 운영이 필연적으로 증가할 수 밖에 없다며 적극적인 의견수렴과 연구 검토로 유연하고 효율적인 학교 운영체계를 마련하여야 한다고 봤다.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영어유치원 문제에 대해서는 학원법 처분규정 개정을 논의했다. 4세·7세 고시 등 조기 사교육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불안감과 경쟁을 조장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교육감들은 유아대상 선발용 사전 레벨 테스트, 인권침해 소지 광고를 법적으로 금지하고, 공교육정상화법에 따른 선행학습 유발 광고를 하는 경우 제재할 수 있도록 처분규정을 신설하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학교폭력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적 기능 회복도 시도한다. 최근 경미한 사안도 학교폭력심의위원회 및 행정심판으로 회부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학교 내 갈등도 장기화했다. 이들은 교육감이 화해 중재와 관련한 업무를 지원하고, 경미한 학교폭력 사안은 학교장이 ‘관계회복 중심의 프로그램’을 학교장 판단하에 실시할 수 있도록 학교폭력예방법을 조속히 개정하는 데 뜻을 모았다. 교육감들은 앞으로도 학교가 스스로 갈등을 치유하고 교육적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최근 사회적 혐오 현상 및 학생 안전 위협 상황에도 엄중히 대응하기로 했다. 교육감들은 ‘혐중 시위‘ 등 사회적 혐오 표현이 확산하고, 학교 대상으로 폭발물 설치 협박 전화가 오는 등 학생 안전 위협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예방 및 대응 지원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수도권 교육청 간 공동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수도권 교육감들은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과제를 중심으로 국정과제 실현과 교육자치 강화를 위한 협력체계를 지속 강화하겠다고 했다. 또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를 통해 교육부 등 관계부처에 법·제도 개선을 적극 건의하기로 약속했다.
정 교육감은 “앞으로도 경기, 인천교육감과 함께 수도권 교육청이 공교육 혁신의 중심이 되어 모든 학생이 성장 단계에 맞는 배움과 돌봄을 받으며 스스로 성장할 수 있는 학교를 만들기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