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인지저하 동반시 2배, 우울증만 있으면 1.5배 높아”
“여성 노인, 우울증·인지저하 동반시 무증상자보다 1.6배↑”

우울증과 인지 저하를 겪고 있는 남성 노인의 경우 낙상 위험이 2.7배 더 높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우울증으로 인한 수면 부족, 식욕 부진, 근력 감소, 인지 저하에 따른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 범위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7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정신건강의학과 홍창형·손상준·노현웅 교수팀은 ‘지역사회 노인 집단에서 우울증과 인지 저하가 낙상에 미치는 영향의 성별간 차이’라는 논문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밝혔다.
연구팀은 평균 71세 노인 1만405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우울증과 인지 저하 등 2개 증상을 모두 동반한 경우 낙상 위험은 약 2배, 우울증만 있는 경우에는 1.5배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한 성별에 따라 낙상 위험 증가 폭도 달랐다. 여성은 우울증과 인지 저하가 모두 있으면 둘 다 없는 여성에 비해 낙상 위험도가 1.6배 더 높았던 반면 남성은 두 가지 모두 있으면 낙상 위험도가 2.7배 더 증가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우울증과 인지 저하가 있는 노인 남성이 가장 주의를 요하는 위험 대상군으로 꼽았다.
특히 우울증으로 인한 수면 부족, 식욕 부진 및 근력 감소, 인지 저하에 따른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 범위 감소 등 여러 요인이 낙상 위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노인이 낙상사고를 당하면 고관절 골절, 두부 외상에 의한 뇌출혈 등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킬 위험이 높고, 낙상 시 많이 발생하는 손목 골절이나 척추 골절 등은 수개월 이상 거동이나 일상생활을 힘들게 하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낙상 사고를 막으려면 ▲방이나 화장실 바닥에 미끄러질 수 있는 물기나 수건 두지 않기 ▲침실과 화장실 사이 낙상 위험물 제거 ▲자주 사용하는 물건 높이 두지 않기 ▲계단 혹은 문턱 위험 제거 ▲화장실 바닥 미끄럼 방지 ▲외출 시 운동화 바로 착용 ▲보행 불안정 시 지팡이나 휠체어 사용 ▲눈 온 다음날 단독 보행 자제 등을 이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제1저자인 노현웅 교수는 “낙상 사고는 ‘예방이 최고의 치료’로 불릴 만큼 예방이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위험군을 선별하고 향후 사고 발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교신저자인 홍창형 교수는 “2017년 시행한 노인실태조사에서 65세 이상 어르신 중 16%가 낙상을 경험하고, 3명 중 2명은 병원 치료를 받아야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며 “심각한 후유증 등을 고려할 때 노인 낙상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특히 우울증과 인지 저하를 동반한 어르신이 있다면 더 세심하게 살펴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기분장애 학회(ISAD) 공식 학술지로 SCI(과학논문 색인)급 저널인 ‘정서 장애 저널'(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에 게재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