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4년 개최되는 인천아시안게임 경기장 조감도. |
◆주경기장 건립 대립=인천시는 서구 연희동 일대 58만6000㎡그린벨트에 3000억원이 투입될 7만석 규모의 주경기장을 짓고, 사후관리방안 차원에서 대형마트와 컨벤션센터, 공연장, 전시장 등 수익시설 설치 계획을 허용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해놓고 있다. 인천시는 7만석 규모의 경기장 신설계획은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의 권고기준안에 해당된다며 배수진을 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인천만의 욕심’이라며 2002 월드컵 때 건설한 5만명 규모의 문학경기장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OCA의 7만명 기준은 어디까지나 권장사항이지 강제규정은 아니라는 것이다. 굳이 OCA가 7만명 규모를 지킬 것을 요구한다면 문학경기장을 증개축하면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종합경기장을 짓게 될 때 적자로 인한 사후관리의 문제도 제기하고 있다.
인천시는 이에 대해 2002 부산아시안게임 때 5만5000석 규모의 주경기장을 OCA의 요구에 따라 개·폐회식 때 8만석 규모로 변경한 사실을 들어 문학경기장을 증개축하기에는 장소가 너무 협소하다며 반박하고 있다.
문학경기장은 개·폐회식 때 대규모 선수단과 행사인원 등 10만명을 수용하기에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문학경기장을 리모델링(구조변경)할 때 주경기장 신설 비용 2860억원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1630억원이 들어 경제성이 떨어진다며 신설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 주경기장 내에 상암월드컵경기장을 모델로 수익시설을 배치하면 매년 최저 61억원에서 최대 125억원까지 순이익을 낼 수 있다고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
![]() |
◇인천 문학경기장 전경. |
◆선수촌 및 미디어촌 건설 이견=인천시는 서구 주경기장 인근 연희·공촌동 그린벨트에 96만7000㎡ 규모의 아시아 빌리지를 조성, 선수촌과 미디어촌을 건설하겠다며 그린벨트를 풀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인천시는 선수촌을 저층으로, 미디어촌을 준호텔급으로 건설한 뒤 선수촌을 일반에 분양해 그 이익금으로 전액 비용을 충당할 계획이어서 국비부담은 한 푼도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정부는 부정적이다. 우선 현행법상 그린벨트 내 빌리지 조성 자체가 어렵다는 것이다. 선수촌 건립을 위해 그린벨트를 풀면 전국의 지자체마다 국제경기 유치에 나서 그린벨트를 풀어줄 것을 요구할 것이 뻔하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형평성 문제를 들어 인천시의 요구사항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인근지역 경기장 활용 문제=2014 아시안게임에서는 27개의 올림픽종목과 기타 10개 등 모두 37개 종목의 경쟁이 펼쳐진다. 인천시는 필요한 경기장 수는 모두 39개이며, 이 가운데 인접도시 6개를 비롯해 기존시설을 활용하는 경기장 18개를 제외하면 21개의 경기장을 신설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인천시는 주경기장 비용을 포함한 경기장 건설에만 1조8045억원이 소요돼 시비부담 70%(1조2632억원)를 제외한 나머지 30%(5413억원)를 국비에서 지원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인근지역 경기장 활용을 늘려 신설경기장 수를 줄이라고 요구하고 있다. 정부는 고양시와 김포시, 안양시 등 인근 도시의 실내외 경기장과 의정부와 수원까지 경기장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이렇게 할 때 신설경기장 수는 15개 이하로 떨어진다는 것이다.
인천시는 그러나 선수촌에서 경기장까지 이동거리가 OCA 권고시간대인 45분보다 더 걸릴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게다가 정부안을 수용하면 인천아시안게임이 아니라 ‘수도권 아시안게임’으로 이름을 고쳐야 할 판이라며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해결 방안은 없나=인천시는 지난 6월20일 송도를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에게 주경기장 신설 등 필요성을 역설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하지만 이 대통령에게서 “선진국은 스포츠 경기 때 새 스타디움을 만드는 곳이 전혀 없다”는 말만 들었다. 이 대통령은 이어 “관계부처와 인천시가 참여하는 합동 TF팀을 구성, 아시안게임을 차질없이 준비해줄 것”을 당부했다.
정부는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국제경기대회지원위원회를 열고 올해 안에 경기장 건설 문제와 경기지원 등에 대해 가부 결정을 내릴 예정이다.
한나라당 이경재 국회의원(인천 서구·강화을)은 “도시경쟁력이 국가경쟁력으로 직결되는 요즘 국제공항도시이자 북한과 인접한 인천이 국가성장동력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정부가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지원할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와 인천시 간의 조정역에 나설 뜻을 내비쳤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향후 인천시와 공동으로 전문가 자문과 해외 경기장 시찰 등 구체적인 조정 노력에 들어가면 가닥이 잡힐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이돈성 기자
sport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