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내수 부진 ‘충격파’ 고용시장까지… ‘그냥 쉬는’ 20대 40만명 육박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4-11-13 12:01:00 수정 : 2024-11-13 13:58:5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10월 취업자 증가폭 넉달 만에 10만명 아래로

내수 부진의 충격파가 고용시장에도 전달되고 있다. 10월 취업자 수 증가폭은 8만명대에 그치면서 넉 달 만에 10만명을 밑돌았다. 도소매업에서 취업자 수가 14만명 이상 줄어든 가운데 건설업도 10만명 가까이 감소하며 부진을 지속했다. 청년층 중 핵심 연령대인 20대 후반 고용률 역시 2개월 연속 뒷걸음질 친데다 20대 ‘쉬었음’ 인구도 5만명 이상 늘어나는 등 청년층을 중심으로 고용시장이 위축되고 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10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884만7000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8만3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수 증가폭이 10만명을 밑돈 것은 6월(9만6000명) 이후 넉 달 만이다. 취업자 수 증가폭은 7월(17만2000명), 8월(12만2000명), 9월(14만4000명) 3개월 연속 10만명대를 기록한 바 있다.

 

서울 시내 한 취업 준비 학원에서 취업 준비생이 자율 학습하는 모습. 연합뉴스

산업별로 보면 내수와 연관성이 큰 도소매업과 건설업에서 부진이 지속됐다. 지난달 도소매업 취업자는 소매업 중심으로 줄며 14만8000명 감소했다. 이는 2021년 7월(-18만6000명) 이후 3년 3개월 만에 가장 크게 준 것이다. 건설업도 건설수주 둔화 등의 영향으로 9만3000명 줄었다. 도소매업과 건설업은 각각 8개월, 6개월 연속 감소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로 분류되는 제조업 취업자도 3만3000명 줄어 4개월째 감소했다. 아울러 10월 조사 주간 중 강수일수 증가에 따라 농림어업 취업자도 6만7000명 줄며 감소폭이 확대됐다. 통계청 서운주 사회통계국장은 “(도소매업 관련) 소매 취업자 감소 상황이 도매까지 확장된 경향이 있다”며 “임금근로자 외 자영업자도 감소했다”고 말했다.

 

연령별로는 청년층(15~29세)의 부진이 두드러졌다. 청년층 취업자는 18만2000명 감소했는데, 인구 감소 효과를 감안한 고용률도 0.8%포인트 하락하며 45.6%를 기록했다. 특히 20대 후반 청년층 고용률은 72.2%로 작년 동월 대비 0.5%포인트 줄며 2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40대에서도 취업자 수가 7만2000명 감소했지만 인구감소에 비해 취업자 수가 소폭 감소하며 고용률은 0.6%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취업자가 25만7000명 증가했고, 30대와 50대에서도 각각 취업자가 6만7000명, 1만2000명 늘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7000명 감소했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4만4000명 늘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9만1000명, 임시근로자는 10만5000명 늘었지만 일용근로자는 10만명 줄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08만2000명으로 작년보다 2만1000명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취업자와 실업자도 아닌 상태에 있는 이들을 일컫는다. 참고로 실업자는 조사기간에 일을 하지 않았지만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했던 사람을 말한다.

 

비경제활동인구를 활동상태별로 보면 육아(-11만2000명) 등에서 감소했지만 ‘쉬었음’(20만7000명), 가사(5만명) 등에서 증가했다. 10월 쉬었음 인구는 244만5000명으로 역대 10월 중 가장 많았다. 특히 20대 쉬었음 인구가 39만8000명으로 집계돼 전년 동월 대비 5만4000명 늘며 40만명에 육박했다. 기획재정부는 공채 대신 수시나 경력 채용이 증가하면서 자신을 ‘취업준비’나 ‘(구직활동을 하는) 실업자’로 응답하는 비율이 낮아져 청년층의 쉬었음 비중이 증가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전체 청년층 인구 중 일자리 취약계층인 ‘실업자+취업준비+쉬었음’을 합한 비중의 경우 지난달 12.9%로 2023년 10월(12.0%)보다 상승했지만 예년대비 낮은 수준이라고 부연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취업자 수가 크게 늘었던 기저효과로 지난달 취업자 수가 조정된 측면이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내수 부진이 지속되고 있어 정부가 7월 밝혔던 올해 연간 취업자 수 증가 목표치(23만명) 달성엔 ‘빨간불’이 켜졌다는 분석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전날 하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올해 취업자 수 전망치를 20만명에서 18만명으로 하향조정한 바 있다. 기재부는 “2022~2023년 중 장기추세를 크게 상회하며 호조를 보였던 고용의 증가속도가 조정받는 과정에서 건설업과 자영업 부문 및 청년 등 고용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다만 실질임금 증가 전환 등 민간소비 여건 점차 개선, 기저효과 등 감안시 11~12월에는 10월에 비해 고용 증가폭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주 '순백의 여신'
  • 김민주 '순백의 여신'
  • 한지은 '매력적인 미소'
  • 공효진 '공블리 미소'
  • 이하늬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