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정부론’에 걸맞은 비전 필요
이틀간 사전투표 적극 참여해야

윤석열 국민의힘,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어제 단일화에 전격 합의하면서 혼전 양상이었던 대선 정국이 새로운 변곡점을 맞게 됐다. 4자 대결로 진행됐던 대선 구도는 사실상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대 윤 후보 양자 간 일대일 대결구도로 재편됐고 초박빙 판세는 다시 요동치고 있다. 그동안 후보 단일화를 놓고 혼란이 적지 않았으나, 대선을 엿새 앞둔 시점에 선거의 최대 불확실성이 정리돼 야권 성향 유권자의 선택은 용이해졌다.
윤, 안 후보는 ‘더 좋은 정권교체’와 ‘통합정부론’을 명분으로 내세웠다. 양당은 대선 후 즉시 합당을 추진키로 했다. 양측이 공동정부 구성에 합의함에 따라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안 후보는 새 정부 청사진을 윤 후보와 긴밀히 협의할 뿐 아니라 대통령직 인수위원장이나 국무총리직 등을 맡아 국정 파트너로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렇게 국정이 운영될 경우 책임총리제를 통한 권력 분산과 내각 권한 확대를 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양측의 합의가 지켜지려면 선거 후 잡음을 최소화하고 원만하게 화학적 결합을 이루는 게 중요하다.
양측의 단일화는 박빙 판세에 불안을 느낀 윤 후보와 정권교체 실패 책임의 부담에서 벗어나 5년 후를 도모하려는 안 후보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다. 단일화 성사로 여론조사에서 50% 안팎을 기록하고 있는 정권교체 민심이 적극적으로 투표로 행사될 모멘텀이 만들어졌다는 게 국민의힘 측 판단이다. 그러나 투표용지가 이미 인쇄된 데다 안 후보 지지층이 분산되면서 대선 결과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민주당 측은 전망한다. 유권자들은 단일화의 명분과 정책적 타당성, 국가 미래에 대한 비전과 가치 등을 고려해 최종 판단을 하게 될 것이다.
후보 단일화가 국민적 공감을 얻으려면 그저 ‘이기고 보자’는 식의 몸집 불리기여서는 안 된다. 더 나은 정권교체를 위해 연대가 필요했다는 점을 뒷받침할 비전과 정책을 제시해야 한다. 정치 개혁의 성과를 내며 국정운영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믿음도 주어야 한다. 민주당도 얼마 전 공언한 정치 개혁 약속을 지켜야 한국 정치는 한 발짝이라도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오늘과 내일은 사전투표가 진행된다. 선거 당일인 9일 투표가 여의치 않은 유권자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바란다. 유권자들은 사전투표에서부터 국가 위기를 극복할 지도자가 누구인지, 후보 단일화가 구국의 결단인지 단순 이합집산인지 냉철하게 판단하고 한 표를 행사해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