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새 유가 9.8%, 환율 1.5% 오른 영향
소비자물가도 시차 두고 곧 오를 듯
올해 1월 수입물가가 4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다. 환율과 유가가 수입물가를 밀어올리면서 소비자물가도 상승할 전망이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올해 1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45.22로, 한 달 새 2.3% 올랐다.

수입물가지수는 지난해 10월부터 넉 달째 상승했다.
지난달에는 원재료(4.4%), 중간재(1.6%), 자본재(0.8%), 소비재(1.0%) 등이 일제히 올랐다. 품목별로 광산품(4.5%), 석탄 및 석유제품(3.5%), 화학제품(2.0%)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원유(11.4%), 벙커C유(5.7%), 수산화알루미늄(7.9%) 이차전지(6.1%), 선박용 엔진(4.5%) 등의 오름세가 두드러졌다.
한은은 원·달러 환율과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수입물가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12월 평균 1434.42원에서 올해 1월 1455.79원으로 1.5% 올랐다. 국제 유가도 두바이유 기준(월평균·배럴당) 73.23달러에서 80.41달러로 9.8% 상승했다.
수입물가 상승은 향후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은 이문희 물가통계팀장은 “유가나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은 소비재가격 상승을 통해 즉각적으로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며 “중간재, 자본재 등의 수입물가 상승도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 영향에 대해선 “글로벌 시장에서 거래 가격이 달라진다면 수출입물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불확실성이 커서 조금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1월 수출물가지수(원화기준)는 지난해 12월(133.56)보다 1.2% 높은 135.12로 집계됐다. 역시 넉 달 연속으로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공산품이 석탄 및 석유제품(7.3%), 화학제품(1.4%), 전기장비(1.6%)등을 중심으로 1.2% 오른 반면, 농림수산품은 0.8% 하락했다. 세부 품목은 경유(8.7%), 제트유(10.5%), 테레프탈산(6.4%) 등의 상승률이 높았다. 신선수산물은 7.7%, 플래시메모리는 11.9% 각각 하락했다.
1월 무역지수(달러 기준)의 경우 수입물량지수(110.30)와 수입금액지수(130.65)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8%, 7.1% 하락했다.
수출물량지수(101.49)와 수출금액지수(112.75)도 각각 10.7%, 11.1% 내렸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93.79)는 전년 동월 대비 3.1% 올라 19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출 가격(-0.4%)보다 수입 가격(-3.4%)이 더 많이 내린 결과다. 소득교역조건지수(95.19)는 수출물량지수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모두 하락하면서 1년 전보다 7.9% 낮아졌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