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segye.com/content/image/2019/01/20/20190120001071.jpg)
지난 19일 경북 의성군 안계면. 마을 앞 하천을 걷다 보면 곳곳에 각종 쓰레기와 폐비닐이 방치돼 있었다. 폐비닐을 비롯한 각종 쓰레기를 노천에 방치되면 주변 농경지나 임야 등지에 날려 경관을 해치고, 이를 불법 소각하거나 매립하면 환경오염의 주원인이 된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19/01/20/20190120001070.jpg)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19/01/20/20190120001072.jpg)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19/01/20/20190120001073.jpg)
그럼에도 고속에는 불법 소각의 흔적이 그대로 남아있다.
소각용 깡통을 살펴보면 타나 남은 각종 쓰레기가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소각로 주변에는 생활 쓰레기가 쌓여 있었다. 배추 등 음식물 찌꺼기는 물론이고 1회용 플라스틱과 각종 폐비닐 등도 어지럽게 널브러져 있다.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19/01/20/20190120001074.jpg)
![](http://img.segye.com/content/image/2019/01/20/20190120001075.jpg)
쓰레기 문제에 관심을 가진 도시는 종량제와 분리배출제도가 정착된 반면, 농·어촌은 관심 및 감시 인력의 부족 등으로 쓰레기 불법 소각의 사각지대로 전락하고 말았다.
의성=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